지명유래
■ 동유래 및 역사
○ 고려, 조선이래 완산부에 속해 있다가 1935년 부제실시에 따라 전주부에서 분리되어 조촌면이 되었으며
○ 1983년 2월 15일 대통령령 제11027호에 의거 완주군 이서면 원동리가 편입되었고
○ 1985년 10월 1일 조촌읍으로 승격되었다가 1987년 1월 1일 대통령령 제12007호에 의거 화전동, 반월동, 원동, 성덕동, 용정동의 5개 법정동으로 이루어진 조촌동으로 전주시에 편입됨과 동시에 동산동과 분동되었고
○ 1994년 12월 18일 대통령령 14434호에 의거 김제군 용지면 남정리와 김제군 백구면 도덕리, 강흥리, 도도리가 편입되어 현재의 9개 법정동으로 이루어진 조촌동의 골격을 형성하게됨
■ 지명 유래
○ 해방전부터 풍부한 농산물이 넘쳐나고 일찍 도시화의 영향을 받아 반월동 남반월마을에는 대규모의 시장이 형성되었고, 이곳 상인들의 물가가 비싸다고 하여 쪽고래미라고 불림
○ 구름 가운데 떠있는 반달과 같다하여 붙여진 반월동과 뒷마을 산의 형세가 용과 같다하여 붙여진 용정동, 뒷 산 세 개의 봉우리 형상에 따라 불리던 삼덕리가 성덕리로 변형된 성덕동, 마을 앞 갯벌을 일구어 밭으로 만든데서 유래한 화전동 등과 같이 대부분의 지명이 뛰어난 풍수지세와 농촌문화의 영향에 의해 이루어 짐
○ 고려, 조선이래 완산부에 속해 있다가 1935년 부제실시에 따라 전주부에서 분리되어 조촌면이 되었으며
○ 1983년 2월 15일 대통령령 제11027호에 의거 완주군 이서면 원동리가 편입되었고
○ 1985년 10월 1일 조촌읍으로 승격되었다가 1987년 1월 1일 대통령령 제12007호에 의거 화전동, 반월동, 원동, 성덕동, 용정동의 5개 법정동으로 이루어진 조촌동으로 전주시에 편입됨과 동시에 동산동과 분동되었고
○ 1994년 12월 18일 대통령령 14434호에 의거 김제군 용지면 남정리와 김제군 백구면 도덕리, 강흥리, 도도리가 편입되어 현재의 9개 법정동으로 이루어진 조촌동의 골격을 형성하게됨
■ 지명 유래
○ 해방전부터 풍부한 농산물이 넘쳐나고 일찍 도시화의 영향을 받아 반월동 남반월마을에는 대규모의 시장이 형성되었고, 이곳 상인들의 물가가 비싸다고 하여 쪽고래미라고 불림
○ 구름 가운데 떠있는 반달과 같다하여 붙여진 반월동과 뒷마을 산의 형세가 용과 같다하여 붙여진 용정동, 뒷 산 세 개의 봉우리 형상에 따라 불리던 삼덕리가 성덕리로 변형된 성덕동, 마을 앞 갯벌을 일구어 밭으로 만든데서 유래한 화전동 등과 같이 대부분의 지명이 뛰어난 풍수지세와 농촌문화의 영향에 의해 이루어 짐
연혁
년/월 | 연혁 |
---|---|
1914년 | 행정구역 폐합 전주군 조촌면(화전동, 원동, 용정동, 반월동, 성덕동) |
1914년 | 행정구역 폐합 김제군 백구면, 용지면(도도동, 도덕동, 강흥동, 남정동) |
1935년 | 전주군이 완주군으로 개칭 |
1985년 | 조촌면이 읍으로 승격, 완주군 조촌읍 |
1987년 | 완주군 조촌읍이 전주시로 편입 |
1987년 | 행정구역 변경 전주시 덕진구 조촌동 편입(도도동, 도덕동, 강흥동, 남정동) |